분류 전체보기17 무성생식, 유성생식 동물의 번식에는 두 가지 기본적인 방법이 있다. 유성생식(sexual reproduction)에서는 반수체의 배우자가 융합하여 이배체의 접합(zygote)를 형성한다. 접합자로부터 발생된 동물은 다시 감수분열을 통해 배우자를 만든다. 암컷 배우자인 난자(egg)는 상대적으로 큰 세포이며 이동하지 못한다. 수컷 배우자인 정자(sperm)는 일반적으로 훨씬 작은 운동성 세포이다. 무성생식(asexual reproduction)은 난자와 정자의 융합 없이 새로운 개체가 만들어 진다. 대부분의 무성생식은 체세포분열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대부분의 동물들에서, 생식은 주로 유성생식이거나 혹은 전적으로 유성생식만 한다. 그러나 어떤 종들은 주로 무성생식에 의존하는데 여기에서는 모두 암컷으로만 이루어진 종들이 포함되며.. 2024. 4. 16. 삼투조절과 배설 체온조절이 열의 획득과 손실의 균형에 의해 조절되듯, 동물체내 화합물들의 농도는 물과 용질의 획득과 손실에 의해 조절된다. 이러한 삼투조절은 체내 유액과 외부환경 사이에서 일어나는 용질의 이동을 조절하는 것이 기본이며, 물은 용질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용질과 물의 함량 모두를 조절하는 것과 같다. 물은 삼투현상에 의해 세포에 출입한다. 삼투현상은 확산의 특이한 형태로 물이 반투과성 막을 경계로 두 용액의 삼투압 혹은 삼투농도(osmolarity)가 다른 경우 일어날 수 있다. 동물이 수분 균형을 유지하는 방법은 두 가지가 있는 데 하나는 삼투순응자(osmoconformer)로 주위환경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체내 삼투농도를 조절한다. 모든 삼투순응자는 해수동물로 주위환경과 체내 삼투압이 같기 때문에 물의 순.. 2024. 4. 15. 능동면역과 수동면역 능동면역(active immunity)이란, 병원균이 우리의 몸을 감염하는 경우에 면역세포들이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1차 그리고 2차 면역반응을 일으켜 병원균을 퇴치하는 것이다. 반면, 임신한 여성의 IgG 항체가 태반을 가로질러 태아에 공급된다면, 전달된 항체가 특정 병원균에 특이적으로 반응할 수 있고 신속하게 그를 무력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태아는 그 병원균에 면역이 생긴 것인데 이를 수동면역(passive immunity)이라 한다. 자신의 B세포나 T세포의 작용으로 면역이 형성된 것이 아니고 전달받은 항체가 감염 미생물에 대한 방어를 수행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수동면역은 즉각적인 방어를 수행하나, 전달된 항체가 존재할 때까지만 유효하다. 아기가 태어난 후에도 아기는 계속 엄마의 젓으로부터 IgA .. 2024. 4. 15. 면역계 (3) B 림프구 및 T 림프구 클론의 활동이 체액성 면역반응과 세포성 면역반응을 일어나게 한다. 체액성 면역반응(humoral immune response)은 오래 전에 body humor라 통칭하였던 혈액이나 림프에서 일어난다. 체액성 면역반응에서는 항체가 혈장이나 림프액에 있는 독소나 병원균을 중화하거나 없앤다. 세포성 면역반응(cell-mediated immune response)에서는 전문화된 T세포가 감염된 숙주세포를 파괴한다. 두 반응 모두에서 1차 면역반응과 기억세포에 의한 2차 면역반응이 일어난다. 도움T세포(helper T cell)는 체액성 및 세포성 면역반응 촉진에 중심적인 역할을 하지만 직접 반응에 참가하지는 않는다. 대신에 도움T세포에서 나오는 신호들이 B세포에게 병원균을 중화하는 항체.. 2024. 4. 14. 이전 1 2 3 4 5 다음